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글쓰기 강의 정리2 ] 초고 빨리 쓰기위한 3가지 꿀팁, 첫 문장 쓰는 법

반응형

초고를 빨리 쓰기 위한 꿀팁, 첫문장 쓰는 방법, 마무리 짓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나중의 기억을 위해 정리하는 글이랍니다.  대학때부터 2번씩 필기하는 걸 좋아하는 나는;;;; 이제 이렇게 정리하고 있네요. 손필기할때는 세번째 손가락에 굳은살이 생겨서 고생했는데 이제는 손꾸락 마디가 이어받아 고생중이네요. 

 

초고는 속도전

 

간단히 말하면 초고는 속도전입니다. 다 쓰고 퇴고하면 되니까 일단 어떻게든 마침표를 찍는 것이죠. 다른 글을 보니까 뒤를 돌아보지 말라고 하더군요. 초고는 글이 다듬어 지지 않은 글이기 때문에 완벽함을 버려야 합니다. 

초고를 빨리 쓰기위해3가지 방법을 기억해두고 작성해봅니다

 

1. 목적/주제를 설정하기

목적이나 주제를 정할때도 2가지 방식으로 접근하게 되는데, 먼저 방향/주제를 설정하고 글을 쓰느냐, 그냥 자유롭게 써내려가느냐 입니다. 목적이나 주제를 설정하고나서 글을 쓰면 방향을 잃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시간 제한 두기

글을 쓸때 시간을 정해두는 겁니다. 짧은 시간동안 많이 쓰는 연습을 해도 좋습니다

 

3. 완벽함을 내려놓기

이게 제일 핵심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글을 빠르게 완성하고 싶지만 쉽지 않은 이유는 우리 내부에 편집가가 있기때문입니다. ㅋㅋㅋ 초고는 글을 한번 완성하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중간에 맞춤법이 틀린다거나, 사소한 것에 집착하면서 쓰다보면 빨리 써내려 갈수가 없습니다. 초고 완성하고 다시 퇴고를 하면 됩니다. 글을 쓸때 핸드폰을 내려놓고 카톡 연락은 글을 다 쓰고나서 확인해도 되는 거죠. 친구한테 얘기하 듯 쏟아내는 연습을 한다고 생각하고 글을 쓰면 된답니다

 

시작이 어렵다면

 

첫 문장, 사실 내가 어떤 주제를 가지고 글을 쓴다고 하면 첫 문장 쓰는게 제일 곤욕인것 같습니다. 마음속 하고싶은 말은 가득차 있지만 글로 표현한다는 건 꽤 어려운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첫 문장이 잘 떠오르지 않는다면 이 방법을 써보세요. 

1. 질문던지기

일단 질문으로 시작합니다. 질문을 던지면 독자입장에서는 같이 글속에 들어가 있는 느낌을 받는 다고 합니다. 지금 글을 읽으시는 분도 그러신가요?

 

2. 오감자극하지

대화체를 쓰거나, 소슬을 읽어가듯이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을 상세하게 써내려가는 거죠. 대화체로 시작을 하는 글은 쓰기도 쉽고, 구체적이 되서 좋은 것 같습니다. 글을 쓰라고 하면 저는 오감을 표현하는 걸 좋아하는 것 같았어요

 

3.  의외성 주기

모두가 불가능 하다고 했지만 나는 해냈다/ 나는 미치광이다 /  지금껏 나처럼 대단한 똥손/금손/길치/인간네비 를 본적이 없다, 누구인지.....안알려주고 시작하기 등등

좀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일반적으로 쓰지 않는 문장들(!)을 써서 궁금증을 일으키는 거죠. 

이게 말이 되나요?

(바로 실습하기ㅋㅋ)

 

4. 속담/명언으로 시작하기

속담이나 명언을 깔아주고 시작하면 예측이 되는 상황에서부터 글을 읽기때문에 빠르게 이해시킬수 있다고 합니다

 

 

마무리는 이렇게 

마무리를 어찌 할지 모르겠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저는 맨날 어찌할지 몰라 그냥 어설프게 인사하고 마무리 지은 적도 있었는데.....부끄럽네요ㅎ

 

1. 주제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기/요약정리 해주기

주제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적어주거나, 요약을 해주는 겁니다

 

2. 결론 간단히 작성하기

이거는 AI가 잘할텐데.... 여운을 주는 포인트가 있으면 좋다고 합니다. 1~2줄이내로.....  말이 쉽지, 여운주는게 제일 어렵다고 생각이 들었어요

 

여운을 남겨야 하는 건 T에게는 겁나 어려운 일.....

(나는 F지만, 이럴땐 T처럼 행동하거든요. 머릿속에 글에 대한 여운이고 뭐시고가 없음.) 

반응형